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에겐 낯설지만 미국 할리우드에서는 대리모를 통해 아이를 낳는 유명인사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.<br> <br>불임 때문이 아니라 몸매나 건강이 망가질까봐 대리모 출산을 선택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, 일각에선 빈곤층 여성에 대한 착취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><br>세계를보다, 이솔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세계적 호텔 체인 '힐튼'의 상속녀로 유명한 패리스 힐튼이 가족 화보를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특히 자녀 2명의 모습을 처음 알렸는데 모두 대리모를 통해 얻은 겁니다. <br> <br>일론 머스크와 킴 카다시안 등의 해외 유명인들도 잇달아 대리모를 통해 자녀를 얻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미국과 캐나다 일부 지역에서 대리모 제도를 합법화하는 곳이 생기면서 출산의 '대안'처럼 여겨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불법으로 규정한 국가에선 암암리에 이루어지고 있고 '대리모 착취'까지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[그리스 A 난임 병원 홍보 영상] <br>"A 병원 덕에 꿈이 이뤄졌습니다." <br> <br>최근 그리스에서는 한 난임병원 관계자들이 대리모 30여 명을 착취한 혐의로 현지 경찰에 붙잡혔습니다. <br> <br>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 등에서 생계가 어려운 여성들을 모집해온 뒤 한 건물에 강제로 합숙시키며 이른바 '아기공장'을 불법 운영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달에는 캄보디아와 아르헨티나에서도 불법으로 대리모들을 착취한 조직이 줄줄이 적발됐습니다. <br> <br>[필리핀 매체 보도] <br>"필리핀 여성 20명이 구조됐고, 이 중 13명은 임신 중이었습니다." <br> <br>실태 파악을 위해 취재진이 태국의 대리모 '브로커'를 접촉하자 케냐는 5000만 원, 알바니아는 1억 2000만 원 등 대리모를 하나의 '물건'처럼 말합니다.<br> <br>생계가 급한 사람들이 몰래 돈벌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고 처벌을 우려해 음지로 숨다 보니 현황 파악조차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[안나 데럼 / 국제대리모폐지연맹 회장] <br>"대부분 교육 혜택을 누리지 못한 여성들입니다. 건강에 위험할 수 있는 조건이 계약서에 있다 하더라도 그들이 이해할 수 있을까요?" <br> <br>각종 논란에도 세계 대리모 산업은 갈수록 성행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2022년 19조 원, 지난해 24조 원 규모로 증가했고, 2030년 113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><br>대리모가 불법인 우리나라도 암암리에 대리모 출산이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한국 대리모 브로커] <br>"한 달에 100명은 (문의) 전화 오는 것 같아요. (비용만) 2억 원이 넘어갑니다." <br> <br>대리모를 찾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는 현실. <br> <br>법적 윤리적 문제에 대응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 <br> <br>세계를보다 이솔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정기섭 이락균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